상호관세 발표 중인 트럼프 대통령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oreo
- 작성일 : 25-04-16 05:28
- 조회 : 25회
관련링크
본문
상호관세 발표 중인 트럼프 대통령 [ⓒEPA 연합뉴스][디지털데일리 고성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품목별 관세 부과를 위한 검토에 나서면서 국내 업체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완성품뿐 아니라 공급망 전반을 들여보겠단 취지로 읽힌 탓에 단가 인하 압박 외 직접적 관세 부과 우려가 확대되고 있어서다.일각에서는 향후 나올 관세율 등 결과에 따라 미국으로의 진출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미 엔비디아·애플 등 국내 제조사의 주요 고객이 미국 내 투자를 발표한 만큼, 공급망 진입을 위한 현지화가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1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14일(현지시간)부터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반도체, 반도체 장비, 의약품, 파생제품 등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조사가 시작되면 상무부 장관은 해당 제품의 수입이 안보를 저해할 위험이 있는지, 있다면 위험을 어떻게 완화할지를 대통령에 보고한다. 이후 대통령은 장관이 권고한 수입 규제 등의 조치를 이행할지 결정하게 된다. 상무부는 16일쯤 조사 결과를 관보에 게재한 후 21일 간 각계 의견을 수렴할 방침이다.이번 반도체 관련 조사 대상에는 반도체 기판과 웨이퍼, 성숙 공정(Legacy) 및 첨단 반도체, 미세전자, 반도체 제조 장비·부품 등이 대거 포함됐다. 아울러 전자제품 공급망을 형성하는 반도체를 포함한 파생제품도 조사 대상에 들어갔다.만약 이번 조사 대상들이 품목별 관세 항목에 포함될 경우 국내 반도체 업계에 전방위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당초 국내 반도체 업계 부품은 대부분 완성품 제조 생산기지가 밀집한 대만이나 중국, 베트남 등으로 향하며 직접적인 관세 여파가 없을 것이란 관측이 나왔지만, 미국이 이에 대한 공급망 자체를 들여다보면서 직접 관세 부담까지도 이어질 수 있는 셈이다.현재 국내는 시스템반도체·메모리반도체를 만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이외 삼성전기, LG이노텍, SK실트론, SKC, SK머티리얼즈 등이 영향권 아래에 있으며, 장비·부품·후공정을 담당하는 중소 및 중견기업 협력사 역시 그 여파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일각에서는 완제품과 그 안에 포함되상호관세 발표 중인 트럼프 대통령 [ⓒEPA 연합뉴스][디지털데일리 고성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품목별 관세 부과를 위한 검토에 나서면서 국내 업체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완성품뿐 아니라 공급망 전반을 들여보겠단 취지로 읽힌 탓에 단가 인하 압박 외 직접적 관세 부과 우려가 확대되고 있어서다.일각에서는 향후 나올 관세율 등 결과에 따라 미국으로의 진출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미 엔비디아·애플 등 국내 제조사의 주요 고객이 미국 내 투자를 발표한 만큼, 공급망 진입을 위한 현지화가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1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14일(현지시간)부터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반도체, 반도체 장비, 의약품, 파생제품 등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조사가 시작되면 상무부 장관은 해당 제품의 수입이 안보를 저해할 위험이 있는지, 있다면 위험을 어떻게 완화할지를 대통령에 보고한다. 이후 대통령은 장관이 권고한 수입 규제 등의 조치를 이행할지 결정하게 된다. 상무부는 16일쯤 조사 결과를 관보에 게재한 후 21일 간 각계 의견을 수렴할 방침이다.이번 반도체 관련 조사 대상에는 반도체 기판과 웨이퍼, 성숙 공정(Legacy) 및 첨단 반도체, 미세전자, 반도체 제조 장비·부품 등이 대거 포함됐다. 아울러 전자제품 공급망을 형성하는 반도체를 포함한 파생제품도 조사 대상에 들어갔다.만약 이번 조사 대상들이 품목별 관세 항목에 포함될 경우 국내 반도체 업계에 전방위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당초 국내 반도체 업계 부품은 대부분 완성품 제조 생산기지가 밀집한 대만이나 중국, 베트남 등으로 향하며 직접적인 관세 여파가 없을 것이란 관측이 나왔지만, 미국이 이에 대한 공급망 자체를 들여다보면서 직접 관세 부담까지도 이어질 수 있는 셈이다.현재 국내는 시스템반도체·메모리반도체를 만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이외 삼성전기, LG이노텍, SK실트론, SKC, SK머티리얼즈 등이 영향권 아래에 있으며, 장비·부품·후공정을 담당하는 중소 및 중견기업 협력사 역시 그 여파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일각에서는 완제품과 그 안에 포함되는 품목이 영향을 받는 만큼 반도체 생태계가 관세에 대한 이중부담을 느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완제품에 대한 관세가 이뤄지면 스마트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