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왼쪽

페이지 정보

본문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왼쪽)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이 지난 12일 서울 동작구 중앙대학교 내 패스트푸드 음식점에서 청년 간담회를 열고 취업·주거 문제 등과 관련한 대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일각에서 '반이재명 빅텐트'를 연일 띄우고 있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상대로 일대일 승부는 승산이 낮은 만큼 반이재명 세력을 끌어 모으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반을 놓고 당내 갈등과 앙금이 여전하다. 오로지 승리만을 위한 '묻지마 빅텐트'는 무책임한 구호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실현 가능성을 놓고도 '러브콜' 당사자들은 고개를 젓고 있다. 김문수 "조금씩 나눠먹으면 이재명 당선", 홍준표 "민주당 반명 세력 함께 해야"국민의힘 대권 주자들은 15일에도 빅텐트론에 불을 지폈다. '탄핵 반대파'가 적극적이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서울 마포구 박정희 대통령 기념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반이재명 빅텐트와 관련, "그렇게 해야 한다"며 "다 (대선에) 나와서 조금씩 나눠 먹으면 이재명 후보가 쉽게 당선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1997년 DJP(김대중-김종필) 연합,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등 과거 사례도 들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도 SBS라디오에서 "우리 당의 후보가 탄생하면 그 사람 중심으로 반이재명 연대를 만들어야 한다"며 "민주당의 반이재명 세력들도 같이 해야 (이재명 전 대표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나경원 의원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다면 우리가 많은 상상을 해봐야 하고 때로는 결단해야 한다"고 했고, 이철우 경북지사는 "이길 수 있는 후보를 찾는 게 당연한 것"이라고 힘을 실었다.국민의힘에서는 △대선 후보 선출 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의 원샷 단일화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와의 범보수 단일화 등 여러 시나리오가 나돈다. 급기야 민주당 경선에 불참하는 김부겸 전 총리와 김두관 전 의원, 새미래민주당의 이낙연 상임고문 등도 빅텐트 영입 대상으로 거명된다. 여론조사 수치로는 국민의힘 주자 중 누가 대선 후보가 되더라도 이 전 대표를 누르기 쉽지 않다는 판단“실업급여 등 지원금 창구에서 일하면서 마치 자기 돈 맡겨 놓은 것처럼 큰소리치고 우기는 진상 민원인들을 겪다 보면 현타가 옵니다.” “‘노병우’(고용노동부·병무청·우정사업본부)는 피하라는 말이 사실이었네요. 제 동기는 다른 직렬로 공무원 시험을 다시 준비한다고 합니다.”공직에 입문한 지 3년이 채 안 된 고용노동부 9급 공무원의 말이다. 주요 민생 현안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이 과중한 업무 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누적돼온 인사 적체로 사기마저 떨어지고 있다는 게 하위직 공무원들의 공통된 불만이다.13일 고용부에 따르면 재직 기간 4년을 채우지 못하고 사직한 9급 공무원은 지난해 58명으로 전년(54명)보다 4명 늘어났다. 8·9급을 합치면 2023년 65명에서 지난해 66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고용부 전체로 보면 재직 1년 미만 직원의 퇴직률은 감소세다. 2022년 39명의 1년 미만 9급 직원이 퇴직을 선택했지만 지난해에는 다소 줄어 2023년과 같은 13명이 퇴직했다. 하지만 2~4년 차 9급 공무원의 퇴직은 증가했다. 2~3년 차 9급 직원의 경우 2022년에는 10명이 사직하는 데 그쳤지만 2023년 41명으로 늘었고, 지난해에도 40명이 옷을 벗었다.새내기 공무원의 조기퇴직은 고용부만의 일이 아니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의원면직(스스로 사직)한 8·9급 공무원은 2020년 1082명에서 2023년 1430명으로 3년째 증가세다.입직 후 1년이 지나 퇴직을 결심하는 공무원이 늘어난 배경에는 민원인과 직접 대면하는 업무 부담이 있다. 선배들의 고질적인 승진 적체를 보며 희망을 버린 공무원도 적지 않다. 계엄 및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여타 부처는 사실상 일이 멈춰 선 곳이 많지만 고용부는 대표적인 민생 관련 업무 부처이다 보니 경기가 나빠질수록 업무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고용부의 주요 업무는 주 52시간 단속, 임금체불 수사 및 처리, 최근 신고 건수가 역대 최다 기록을 넘어선 직장 내 괴롭힘 사건, 경기 침체로 역대 최대 규모로 늘어난 실업급여 등이다. 특히 문재인 정부 당시 정원을 급격히 늘린 상황에서 윤석열 정부의 조직 축소 드라이브가 맞물리며 벌어진 승진 적체에 새내기 공무원들의 사기는 말 그대로 바닥을 찍었다.고용부도 조직 관리에 애가 타고 있다. 고용부는 지난달 21일 ‘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