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작년 5월 수도권매립지에서

페이지 정보

본문

작년 5월 수도권매립지에서 쓰레기 매립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새 수도권매립지를 찾는 네 번째 공모가 이르면 이번 달, 늦어도 다음 달엔 실시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수도권에서 생활폐기물을 소각하지 않고는 매립하지 못하게 하는 조처는 시행이 유예될 것으로 보인다. 13일 환경부와 인천시 관계자 설명을 종합하면 신규 수도권매립지 부지 4차 공모가 조만간 실시된다.환경부 관계자는 "상반기 중 4차 공모를 실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면서 "이를 두고 인천·서울·경기 등 3개 시도와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이달 내 공모를 공고하기로 3개 시도가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얘기도 들린다.환경부와 수도권 3개 시도(4자)는 4차 공모 조건에 실무진 차원에서 합의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최소 부지면적을 90만㎡보다 더 줄이기로 했다.90만㎡는 작년 실시된 3차 공모 최소 부지면적이다. 이 역시 1차(220만㎡)와 2차(130만㎡)에 견줘 대폭 축소한 것이다. '부지 경계에서 2㎞ 내 주민등록상 세대주 50% 이상 동의' 조건은 삭제한다.특히 눈길을 끄는 점은 응모할 수 있는 주체를 지자체에서 기업 등 민간까지로 확대하는 점이다. 다음 선거를 생각할 수밖에 없는 선출직 지자체장은 매립지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현실을 반영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6월 3일 대선 등 정치 일정을 고려하면 4차 공모는 늦어도 5월에는 실시될 것으로 보인다. 새 수도권매립지 부지 공모가 새 정부 첫 환경 업무가 되는 일은 환경부도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새 수도권매립지 조성 이유는 인천이 서구에 있는 현재 매립지를 올해까지만 사용하자는 입장이어서다. 현재 사용되는 수도권매립지 3-1 매립장의 설계상 포화 시점이 올해다. 새 매립지 부지를 찾는 앞선 세 차례 공모에 응모한 지자체는 한 곳도 없었다.수도권 66개 기초지자체 중 64곳이 수도권매립지에 폐기물을 매립하는 상황으로 매립지가 문 닫으면 대한민국 인구 절반이 사는 수도권에 '쓰레기 대란' 박근성 눈사랑안과 복합터미널점 대표원장(안과 전문의) 대부분의 질환은 증상이 있어 병원을 찾게 된다. 소화가 안 되거나 체중이 줄거나 머리가 아프거나 몸이 붓거나 해서 병원을 찾아 질환을 알아내고 치료를 받게 된다. 간혹 모르고 지내다 악성종양이 발견되는 복부 질환이나 뇌종양처럼 우연히 발견되는 안과 질환이 있다. 바로 녹내장, 망막변성, 망막 열공, 고혈압성 망막 질환 등이다.녹내장은 뚜렷한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내다 발견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얼마 전 40대 남자분이 눈에 결막염이 있어 내원하여 진료하던 중 시신경 이상이 발견돼 정밀 검사 한 결과 말기 녹내장이었다. 이분은 전혀 안과 질환에 걸린 적이 없고, 신체검사에서도 질환이 없었고, 안과 진료는 처음이라 했는데 안타깝게도 녹내장 말기의 시신경을 보이고 있었다.이처럼 녹내장은 초기 또는 중기에도 증상이 없고, 말기 녹내장일 때까지 자각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녹내장은 서서히 진행해 시신경이 나빠지는데 시신경 사진 촬영이나 시야 검사를 하여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 안압이 높은 고안압 녹내장의 경우 외에는 중심시야까지 병이 진행하기 전까지 전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다행히 요즘은 건강 검진할 때 눈 속 망막 사진을 찍는 경우가 많아 조기 발견율이 높아지고 있다.시야 검사는 녹내장뿐만 아니라 시신경 또는 시각 중추의 질환을 알아내는 아주 중요한 검사이다. 과거 CT나 MRI가 없던 시절에는 시야 검사로 뇌 질환을 찾아내는 경우도 많았다. 녹내장은 대부분 안약으로 치료한다. 안압을 낮춰 시신경에 혈액 공급이나 신경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데 우선 녹내장을 발견해 내야 치료가 시작된다.녹내장이 잘 발생하는 경우는 우선 고도 근시일 때, 녹내장 가족력이 있을 때, 포도막염 같은 눈 속에 염증이 있을 때, 혈관 질환이 있거나 고지혈증이 있을 때이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고지혈증이 녹내장 및 망막 질환을 악화시키는 한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고지혈증으로 시신경 주위 혈관의 투과성이 감소돼 시신경으로의 물질 전달이 방해되고,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여러 염증 물질이 방출되며, 눈 속에 방수 배출로의 변형도 가져온다. 또한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떨어뜨려 망막 신경전달세포의 기능도 악화시킨다. 고지혈증은 나이가 증가하면 대부분 따라오는 질환이며 HDL, LDL 수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