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더 나은 연금개혁을 요구하

페이지 정보

본문

‘더 나은 연금개혁을 요구하는 국회의원’ 긴급 기자회견 / 2025.3.23 국회 소통관 (왼쪽부터 전용기, 이소영, 이주영, 천하람, 장철민, 우재준, 김재섭 의원) 2025년 대한민국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그러나 연금 개혁 논의는 18년째 제자리걸음입니다. 노인 빈곤과 미래 세대 부담 문제가 똑같이 중요하지만 이를 함께 해결할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고령화와 저출산, 저성장이라는 삼중고를 겪고 있는 대한민국의 연금 개혁 방안을 함께 고민하기 위해 시리즈 기사를 쓰고 있습니다.[다시 연금 개혁] 청년과 노인이 함께 신나는 국민연금① 국고 GDP 1% 쓰면 기금 고갈 없이 45% 소득대체율 가능② 청년이 더 유리하다! 사각지대 없애는 416 개혁안③ 국민연금 원가는 얼마? 국고 투입 반대하는 정부의 '모럴 해저드'④ 대한민국의 '대왕고래'는 동해가 아닌 국민연금에 있다?⑤ MBK식 '돈 넣고 돈 먹기'가 국민연금의 투자 원칙인가⑥ 1,200조 원 기금 '셀프 감독'…2년째 공석인 기금 위원⑦ '꿀 빤 세대'는 누구?…구조개혁,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망한다’⑧ 편으로 이어집니다. 이 연금개혁 시리즈 기사를 쓰는 동안 국민연금 모수개혁이 드디어 성사됐다. 18년 만에 모수개혁에 성공한 것이다. 보험료는 25년 동안 묶여 있다가 이번에 13%로 올랐고, 소득대체율도 43%로 소폭 높아졌다. 21대 국회 '연금 개혁 공론화 위원회'에서 시민들이 원했던 50% 수준은 아니지만 이른바 ‘더 내고 더 받는 개혁’의 방향성은 살렸다. 그러나 이후 청년 세대들 사이에선 비판의 목소리가 크게 나왔다. 연기금 고갈 시점만 10년 정도 늦춰졌을 뿐, 미래세대의 불안은 여전하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특히 앞 세대보다 청년 세대가 불리한 연금제도를 갖게 됐다고 분노하는 목소리도 일부 터져 나왔다. 그러나 지금은 국민연금 가입자들끼리 다툴 때가 아니라 앞으로 이어질 구조개혁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게 중요하다.■ 이준석 의원 "657만 원 내고 1억 넘게 받은 국민연금 가입자"최근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이 보험료 657만 원을 내고 노령연금을 1억 1,800만 원 넘게 받는 국민연금 가입자 사례를 공개했다. 그러면서 국민연금 제도가 미래세대에게 고통을 전가하는 ‘폰지 사기’라고 비난했다. 이렇게 증거까지 공개하면서 한 발언이니까 이른바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호암미술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김예나 기자 = 봄철 주요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쉽게 보기 힘든 고미술 전시가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경기 용인에 있는 호암미술관에서는 겸재 정선의 대표작들을 모은 대규모 전시가 진행 중이다. 호암 전시가 조선 최고 화가의 걸작들을 모은 전시라면 서울 용산의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조선민화전은 화려하고 세련된 궁중회화에 비해서는 소박하고 수수하지만 그만큼 자유롭고 독창적인 민화의 다양한 면모를 살필 수 있는 자리다.호암미술관, 간송미술관과 함께 국내 3대 사립박물관으로 꼽히는 서울 청담동의 호림박물관에서는 호암 이병철, 간송 전형필과 함께 한국의 대표 수장가로 꼽히는 호림 윤장섭(1922∼2016)이 수집한 국보 8건, 보물 54건 등을 볼 수 있다. 무지개를 표현한 겸재 정선의 '홍관미주도' 전시 모습[사진 황희경] 푸른색·분홍·무지개…겸재 정선의 색(色) 호암미술관의 정선 전시는 규모와 전시 작품의 수준에 있어 다시 보기 힘든 전시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선 작품의 양대 소장처라고 할 수 있는 호암미술관과 간송미술관이 힘을 모아 만든 전시다. 정선이 진경산수화로 유명한만큼 아무래도 국보 '금강전도'와 '인왕제색도'에 먼저 관심이 쏠리지만 잘 알지 못했던 정선의 다양한 면모를 볼 수 있는 좋은 작품들이 많다. 전시를 기획한 조지윤 리움미술관 소장품연구실장은 "정선은 색을 굉장히 잘 썼다"면서 "강세황이나 김홍도, 심사정 등 유명화가 중 정선만큼 색을 쓴 작가는 없었다"고 말했다. 겸재 정선의 '여산초당'[호암미술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표작 '금강전도'에서는 금강산의 수많은 봉우리 위에 푸른색으로 하늘을 표현했는데 조 실장은 "조선시대 회화에서 이렇게 푸른색을 쓴 예가 없다"고 설명했다.서울과 한강 주변의 명소를 진경산수화로 담은 화첩인 '경교명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