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소비자물가상승률이 3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한 2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통계청이 2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가공식품, 축산물, 해산물 등 먹거리 가격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다. 2025.04.02. photocdj@newsis.com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미국발 관세전쟁이 세계 경제를 뒤흔드는 가운데, 국내 경제에도 물가 상방압력이 높아지고 있다. 고용 지표는 양호하지만 청년층의 일자리 미스매치와 건설·제조업 일자리 부진은 여전한 실정이다. 물가 상승과 청년 고용 부진은 소비심리를 위축시켜 내수를 더 얼어붙게 한다. 정부는 이번주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10조원 규모 필수 추가경정예산(추경)의 상세 내용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13일 정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다음달 1일부터 가공식품 원료육(돼지고기) 1만t과 계란가공품 4000t에 할당관세를 실시해 수급을 안정시킨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지정한 두 품목은 최근 물가가 상승한 가공식품의 주재료다. 긴급 할당관세로 식품업계의 부담을 덜겠다는 취지다. 고환율과 원재료 가격 상승은 최근 가공식품의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다. 지난달 가공식품 가격은 전년보다 3.6% 상승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2.1%를 웃돌았다. 식품기업들은 연초부터 이달까지 일제히 주요 품목의 값을 올렸다. 여기에는 컵라면·봉지라면, 카레, 맥주는 물론 아이스크림, 우유, 과자 등도 포함됐다. 외식업계도 빵, 케이크, 커피 등의 가격을 인상했다. 환율 상승은 시차를 두고 수입물가를 올려 향후에도 주요 품목들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편 산불로 인한 농축산물 피해도 집계 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9일 기준 추산한 산불 피해 현황을 보면 여의도 면적(2.9㎢)의 13배를 넘는 농작물 3795㏊가 피해를 입었다. 이외에도 시설하우스 715동, 축사 237동, 농기계 8308대, 가축 21만8000두 등이 소실됐다. 산불이 휩쓸고 간 경북 안동과 청송 등은 사과 주산지로 올해도 사과값이 급등하는 '금사과' 사태가 빚어질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 결정 후 일주일 만인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기 앞서 정문 앞에서 지지자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4.11/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서울=뉴스1) 김정률 기자 = 보수 정권의 두 파면 대통령인 윤석열·박근혜 전 대통령의 행보가 극명하게 엇갈린다. 칩거를 선택한 박 전 대통령과 달리 윤 전 대통령은 막후에서 계속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파면 이후 일주일간 한남동 관저에 머문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1일 서초동 사저로 옮기며 완전한 민간인 신분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탄핵 정국을 거치며 윤 전 대통령의 정치적 영향력은 오히려 높아졌고, 마지막 서초동 사저 복귀 길에는 청년 지지자 등이 몰리면서 현직 대통령 못지않은 지지세를 과시했다.특히 윤 전 대통령은 관저 퇴거에 맞춰 법률대리인단을 통해 낸 메시지를 통해 지지층을 한껏 자극했다.윤 전 대통령은 "지난겨울 많은 국민들 그리고 청년들께서 밤낮없이 한남동 관저 앞을 지켜주셨다"고 했다. 이어 "나라와 국민을 위한 새로운 길을 찾겠다"고 강조했다.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퇴거 당일 관저에서 직원들과 만나 "비상 조치 이후 미래 세대가 엄중한 상황을 깨닫고 자유와 주권 가치의 소중함을 인식하게 돼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윤 전 대통령의 이런 발언 12·3 비상계엄 사태가 정당했으며, 헌재의 결과에 대한 승복할 수 없다는 뜻으로 보인다. 보수 진영에서는 6·3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중도 보수와 같은 외연 확장에 독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터져나왔다.정치권 안팎에서는 윤 전 대통령이 대선 국면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경우 이번 대선이 20대와 똑같이 '이재명 대 윤석열' 구도로 흐를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탄핵 정국 연장선에서 선거가 치러지는 셈이다.하지만 당장 한표가 급해 지지층 결집에 급한 일부 대선 주자들에게는 매력적인 카드로 와 닿는 모습이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일부 인사들은 지난주 한남동 관저를 찾아 윤 전 대통령과 만났고, 이런 모습이 사저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국민의힘 한 중진 의원은 "헌법 시스템에 의해 결과는 수용하고 새 정치가 될 수 있도록 묵묵하게 돕는 것이 윤 전 대통령의 도리일 것 같다"고 지적하기도 했다.다만 윤 전 대통령의 영향력이 급속도로 사라질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