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지난 10일 레고랜드

페이지 정보

본문

지난 10일 레고랜드 코리아 '스핀짓주 마스터' 론칭 기념 행사에 방문한 이순규 레고랜드 코리아 대표와 피오나 이스트우드 멀린 엔터테인먼트 CEO./사진=박수림 기자 “이번에 출시한 스핀짓주 마스터는 G-force(중력가속도)나 속도 면에서 레고랜드에 가장 적합한 놀이기구입니다. 레고랜드가 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준의 스릴을 구현했습니다.”지난 10일 강원 춘천 레고랜드 코리아에서 열린 ‘스핀짓주 마스터’ 론칭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이순규 레고랜드 코리아 대표는 새 어트랙션에 대해 이 같이 자부심을 드러냈다.레고랜드 코리아는 이날 전세계 레고랜드 가운데 최초로 신규 어트랙션 ‘스핀짓주 마스터’를 공개했다. 이 놀이기구는 인기 브랜드 IP(지식재산권)인 '닌자고' 테마로 제작된 몰입형 어트랙션이다. 레일 위 16개 좌석이 고정돼 있지 않고 360도로 회전한다. 총 길이 346m에 최고 속도는 57㎞에 이른다. 약 200억원을 투입해 기존 닌자고 클러스터 구역을 2640㎡(약 800평)가량 확장한 부지에 조성됐다.고학년 맞춤 어트랙션 신설, 식음료 메뉴 강화 스핀짓주 마스터./사진=박수림 기자 레고랜드 코리아는 2022년 개장 이래 지난해까지 3년 연속 흑자 전환에 실패했다. 서울에서의 접근성, 비싼 입장료, 식음료(F&B) 메뉴 다양성 저하 등이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레고랜드 코리아는 이번 어트랙션 공개를 기점으로 고객 피드백을 적극 반영해나가겠다는 계획이다.이번 '스핀짓주 마스터'는 스릴형 어트랙션이 부족하다는 고객 피드백을 반영해 만들어졌다. 이 대표는 “그동안 레고랜드를 찾은 고학년 어린이들이 더 무서운 놀이기구 없냐는 질문을 많이 했다”며 “(스핀짓주 마스터는) 그런 아이들 의견을 반영해 만든 라이드다”고 말했다. 실제 기구를 체험해 보니 생각보다 속도가 빠르고 예측 불가능한 시점에 회전이 이루어져 스릴감이 상당했다. 지난 10일 레고랜드 코리아 '스핀짓주 마스터' 론칭 기념 기자간담 ━ 오일영의 즐거운 건강 외래에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이 “심장에 좋은 것은 어떤 것을 먹어야 하나요”이다. 지난 시간까지 부정맥의 종류와 치료법을 다뤘는데, 이번에는 그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방법 중 하나인 체중 및 식사 조절에 대해서 다루려 한다. 내과 전공의 시절 혈액종양내과 병동에서 근무할 때의 일화이다. 교수가 회진 중에 “회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냐”는 환자들의 질문에 “제가 계속 살 수 있는 법을 알려 드릴까요”라고 하시며 “대부분의 환자가 제 말을 안 들어서 돌아가셔요. 숨을 멈추지 말고 계속 쉬시면 됩니다”라고 하셨다. 명의라고 소문이 났던 교수의 말에 희망을 품고 귀 기울여 듣던 환자들이 웃기보다는 실망하는 모습에 나도 약간 당황했었다. 그런 나도 요즘 심장 건강을 위해 무얼 해야 하느냐는 환자들의 질문에 “뱃살을 빼라”고 한다. 대단한 답을 기대했던 분들은 실망하는데, 체중을 줄이는 것은 농담이 아니라 심장 건강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일이고 치료이다. 감량·증가 반복보다 꾸준한 체중 유지를 나의 환자들은 1년에 한 번은 심혈관계 위험 평가를 위해서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등을 측정하는데, 이전보다 수치가 늘어서 “혹시 체중이 늘었나요”라고 물으면 대개 1~2㎏정도 체중이 늘었다고 말한다. TV만 틀면 혹은 여러 인터넷 채널에서 먹방을 하고, 간단한 주문만으로도 맛있는 음식을 손쉽게 배달받을 수 있는 요즘에 체중을 유지하기란 정말 쉽지 않은 일이다. 1년이라는 세월, 1~2㎏ 증가는 여러 대사적인 문제를 유발하고, 과체중·비만 상태에서는 시간의 문제이지 당뇨·고혈압·고콜레스테롤증과 같은 만성질환이 생기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은 우선 현재 체중의 유지이다. 그래픽=이윤채 기자 lee.yoonchae@joongang.co.kr 저열량식, 초저열량식, 초저탄수화물식, 저탄수화물식, 고단백식, 간헐적 단식 등 다양한 식사법이 대한비만학회의 비만 진료지침 2022(8판)에도 소개되고 있는데, 각각은 장단점이 있다. 각자에게 맞는 방법이 있겠으나 체중 조절을 위해서는 방법보다는 꾸준한 노력이 제일 중요하다. 몸은 항상성을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체중 증가도 문제가 되지만 체중 감량도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꾸준한 식사량의 조절이 되지 않아서 체중 증가와 감량을 반복하면서 체중을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