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서울=뉴스1)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 얼마 전 태국에서의 일정을 마치고 라오스의 유서 깊은 도시 루앙프라방을 일행과 함께 방문했을 때의 일이다. 여럿이 움직이다 보니 라오스 말이 유창한 분에게 일행의 경비 관리를 부탁했다. 저마다 환전을 하고 그때그때 결제를 하는 것보다 단체로 하는 편이 덜 번거로울 줄만 알았던 터다. 하지만 예상은 빗나갔다. 현지의 화폐와 물가가 생소한 탓에 넉넉하게 환전을 했다 싶었지만 이렇다 한 것도 없이 이내 돈이 떨어져 환전소를 들락거리기 일쑤였다. 게다가 일행의 경비를 관리하기엔 지갑으로 감당이 되지 않아 지폐 뭉치를 넣을 돈가방이 필요할 정도였다. 이는 메콩강을 국경으로 한 태국과 라오스의 화폐 상황이 준 일종의 '환율 멀미'였다.라오스의 화폐는 킵(Kip)인데, 1000킵은 우리 돈 67원쯤 된다. 외국인 관광객이 몰려드는 루앙프라방의 상대적으로 낮지 않은 물가로는 1만킵(약 670원)으로 살만한 것을 찾기가 쉽지 않다. 라오스에서는 동전은 쓰이지 않고 최저액권 500킵(약 34원)부터 2010년에 생겨난 최고액권 10만킵(약 6700원)까지 지폐로만 8종류나 통용이 된다. 반면 태국 돈 1밧은 우리 돈 40원쯤이다. 태국 밧과 라오스 킵의 교환 비율이 얼추 1 대 600에 달한다. 이방인이 겪는 밧과 킵의 '환차'는 지구 반대편에서 겪는 '시차' 못지않게 크다.화폐의 액면가, 지폐에 쓰인 숫자로 '10000'을 놓고 보자. 태국 돈 1만밧은 대략 원화 40만원에 상응한다. 그런데 이 숫자가 메콩강을 건너 라오스로 가서 라오스 화폐 킵이 되면, 1만킵은 670원으로 쪼그라든다. 똑같은 숫자가 어느 나라, 어떤 화폐에 쓰이느냐에 따라 40만원과 670원이라는 엄청난 차이로 둔갑하게 된다. 환율과 화폐 시스템의 차이로 인해 동남아에서 국경을 넘나들다가는 이처럼 익숙해지지 않는 혼란을 겪게 마련이다. 게다가 1000원짜리 물품을 구입하려 1만킵 지폐를 꺼낼 때, 우리는 마치 만원을 쓴다는 착각에 움찔하기 십상이다. 환차에 익숙해진 챗gpt가 표현한 ‘취업시장에서 좌절한 청년들’ 이미지 #1. 안양시 동안구에 사는 안지수씨(가명·27)는 최근 2년간 다니던 마케팅 회사를 그만뒀다. 이직, 진학 등의 미래계획은 없다. 안씨는 “이전 회사에서 힘들게 일했다 보니 지금 당장은 쉬고싶다”며 한동안 취업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2. 양주시 고암동에 거주하는 한현용씨(가명·25)는 1년째 취업준비생이다. 지원하는 회사마다 번번이 경력직 지원자들에게 밀려 낙방했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최근 채용한파까지 불어 지원하는 직종마다 전보다 한층 높아친 경쟁률을 견뎌야 하는 상황이다. 한씨는 “언제쯤 취업준비생 신분을 졸업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취업자 수는 석 달 연속 증가하는데 청년 고용률은 4년만에 역대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11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5년 4월 최근 경제동향’에 따르면 올해 3월 중 취업자는 2천858만9천명으로,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지난해 12월 감소했다가 1월(13만5천명), 2월(13만6천명), 3월(19만3천명)로 석 달 연속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도 19만3천명 증가했고, 고용률 또한 62.5%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그러나 청년층 고용률은 감소했다. 15~29세 청년층 고용률은 44.5%로, 2022년 46.6%, 2023년 46.5%, 2024년 46.1%로 매년 감소하다 이번 3월에 2021년 3월(43.3%) 이후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비경제활동인구를 봐도 1천620만1천명으로 지난달 대비 37만4천명가량, 전년동월대비 4만명가량 감소했다. 그중 ‘쉬었음’ 인구는 전년동월 대비 7만1천 명 증가했고, ‘취업준비’ 인구도 지난 3월보다 2만7천명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쉬었음 인구는 2022년 227만7천명, 2023년 235만1천명, 2024년 246만7천명으로 매년 증가했다. 올해 들어서는 1월 267만3천명, 2월 269만7천명으로 증가하다가 3월에 251만7천명으로 감소했다. 취업준비 인구의 경우 지난 3년간 매년 줄어들다가 올해부터는 증가하는 추세다. 구체적으로 2022년 76만3천명, 2023년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