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실 관저를 떠나는 윤석열 전 대통령./사진=박상곤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파면된 지 일주일 만에 서울 한남동 관저를 떠났다. 윤 전 대통령은 관저를 걸어 나와 지지자들에게 손을 흔들었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Yoon Again!"(윤 어게인)을 외치며 배웅했다.11일 오후 4시 서울 한남동 관저 앞. 윤 전 대통령의 퇴거 예고 시각 한 시간 전부터 주변 도로는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이들은 저마다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거나 'KING석열 IS BACK' 이 적힌 티셔츠 등을 입고 윤 전 대통령을 맞이하기 위해 기다렸다.관저 정문 앞엔 윤 전 대통령과 직접 인사를 나누기 위한 지지자들이 펜스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줄을 지어 서 있었다. 경찰과 대통령실 경호처 직원들은 지지자들의 신분 확인과 신체 검문을 한 뒤 약 200명을 관저 앞 펜스 안으로 들여보냈다.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집회 측은 이들에게 '윤 어게인'이라 적힌 팻말을 나눠줬다.윤상현 국민의힘 의원과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도 이날 오후 관저 앞을 찾았다. 관저에 들어갔다 나온 윤 의원은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에 "윤 전 대통령과 인사만 하고 나왔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김성진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 관저에서 나와 지지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4.11/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성진 기자 윤 전 대통령이 퇴거를 예고한 오후5시가 다가오자 지지자들은 "윤 어게인. 윤석열 대통령. 우리가 지킨다"는 구호를 계속 외치며 윤 전 대통령을 기다렸다. 다른 쪽에선 "탄핵 무효, 사기 탄핵"이라는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오후5시9분. 관저 정문이 열리고 윤 전 대통령이 걸어 내려오는 모습이 보이자 지지자들은 함성을 질렀다. 이들은 연신 "윤석열"을 연호하며 들고 있던 태극기와 피켓을 흔들었다. 관저를 걸어 나온 윤 전 대통령은 미소를 띤 채 양쪽에 모여있는 지지자사순절 기간입니다. 사순절은 성도가 예수 그리스도의 처절한 고난을 묵상하는 가운데 깊은 성찰과 획기적인 변화를 모색하는 은혜의 시간입니다. 또 예수님의 영광스러운 부활을 기다리는 축복의 시간이기도 합니다.본문은 ‘비천한 가운데 기억해 주시는 은혜’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시편 136편은 유대인들의 3대 절기인 유월절 칠칠절 장막절에 드리는 ‘큰 찬양시’입니다. 26절까지 절마다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는 찬양이 담겨 있습니다. 창조와 구원, 기이한 이적을 노래하는 이 시편에서 23절은 어쩌면 생소한 고백인 비천함을 언급하고 있습니다.첫 말씀 ‘우리를’이란 표현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택한 민족(選民)과 거룩한 민족(聖民)을 뜻합니다. 선민과 성민은 신구약을 관통하는 중요한 키워드이며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의 정체성과 믿음의 역동성을 밝혀주는 구별의 상징입니다.그런데 그 영광스러운 선민과 성민이 치욕적이게도 비천한 존재라는 것입니다. 이는 40년간의 광야생활, 70년간의 포로생활, 갖은 핍박과 설움을 당하는 공동체를 말합니다. 그리고 구속사로 보면 하늘나라에서 버림받은 처절한 죄인을 뜻합니다.찬란한 내일을 꿈꾸던 요셉은 애굽의 감옥에 갇히는 비천한 존재로 전락합니다. 그러나 여기서 제국의 총리가 되는 길이 열립니다. 감옥의 비천함이 없었다면 총리의 영광, 민족 번영을 마련하는 역사적 업적도 없었을 것입니다.모세는 제국의 왕자에서 미디안광야로 도피하는 존재로 전락, 40년간 양치기로 삽니다. 그러나 그는 거기서 위대한 민족의 지도자 사명을 받고 십계명을 받은 영광스러운 성직자가 됩니다. 호렙산(시내산)은 비천한 양치기가 거닐던 현장이었습니다. 모세는 특히 광야에서 ‘양치기 리더십’을 수련 후에 이스라엘 백성을 질서 있게 인도할 수 있는 결정적 역할을 수행합니다.이 세상에서 가장 비천한 존재로 전락하신 분은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십자가의 비천함이 없었으면 영원한 구원도, 영광스러운 부활도 없었을 것입니다. “그가 아들이시면서도 받으신 고난으로 순종함을 배워서 온전하게 되셨은즉 자기에게 순종하는 모든 자에게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 되시고.”(히 5:8~9)스위스 신학자 에밀 브루너는 말합니다. “십자가는 우주의 중심이다.” 사도 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