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가동률을 낮추거나 일이 적었던 적은

페이지 정보

본문

“가동률을 낮추거나 일이 적었던 적은 “가동률을 낮추거나 일이 적었던 적은 예전부터 많았어요. 그런데 공식적으로 공장이 멈춘 건 처음이라 불안감이 몰려오네요.”“구조조정 얘기가 나오면 협력사인 우리부터 계약이 안 될 거랍니다. 걱정이 큽니다.” 4월부터 가동을 멈춘 현대제철 인천공장의 철근 생산 시설. /서일원 기자 건설경기 침체로 창사 이래 처음 가동을 멈춘 현대제철의 철근 공장. 지난 7일 오후 5시쯤 찾은 인천 송현동 공장 안쪽의 ‘단결하라, 투쟁하라, 24임단투 승리하라!’ 현수막 방향에서는 노동조합의 노동가요가 흘러나왔다.현대제철 노사는 작년 9월부터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을 진행하다 이달 10일 잠정 합의했다. 회사는 1인당 평균 2650만원(기본급 450% + 1000만원)의 성과급에 임금 10만원 인상을 제안했으나 민주노총 산하 노조는 추가 지급을 요구하며 파업을 이어왔다. 그러다 11시간가량 이어진 회의 끝에 ‘기본급 450% + 1050만원’, 임금 10만1000원 인상에 합의했다.작년에 65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현대제철은 인천의 철근 공장을 4월 한 달간 셧다운한다고 지난달 27일 밝혔다. 전 임원의 급여도 20% 삭감하면서 비상 경영을 선포했다.당진제철소를 비롯해 인천·포항·순천에 공장을 두고 있는 현대제철은 국내 1위 철근·형강 업체다. 인천 공장에서는 철근, H형강(단면이 H모양인 철강), 스테인리스스틸(STS), 주·단강 제품을 생산해 왔다.2023년 9월에는 중국산 저가 제품의 공세로 경쟁력을 잃은 스테인리스스틸 생산을 멈췄다. 인천공장의 철근과 H형강의 연간 생산량은 각각 150만톤(t), 200만톤(t)에 달한다. 7일 찾은 현대제철 인천공장 정문. 보안팀 직원이 퇴근 하는 직원들에게 엄지를 들어보이고 있다./서일원 기자 철근 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출근하지 않고 있는 직원은 400명 정도다. 소형공장 조업 인원 70여명을 포함해 60·90톤 제강공장 등에서 일하던 직원들이 70%의 임금을 받으며 휴업 중이다. 한때 3000명에 달했던 인천공장 직원 수는 현재 약 1300명으로 줄었다.철근 공장 가동이 멈춘 지 일주일째인 이날 만난 직원들은 불안감을 토로했다. 공장 앞에서 만난 한 직원은 11일 낮 2시 월드컵공원반려견놀이터의 모습. 이날 놀이터에는 대형견과 소형견 10여 마리가 뛰어놀고 있었다. 신혜연 기자 11일 오후 2시 서울 마포구 월드컵경기장 한편에 있는 높은 철망 너머에서 골든래트리버와 진도믹스견 등 대형견 여러 마리가 흙바닥에서 뛰어놀고 있었다. 축구장 1개 크기보다 조금 작은 이 공간은 서울시가 만든 반려견 놀이터다. 체구 40cm 이상의 강아지들이 모인 대형견존과 40cm 미만 강아지가 모인 소형견존으로 나뉜다. 이날 대형견존과 소형견존으로 나뉘는 입구에서 마주친 진도믹스와 소형견은 서로 으르렁거리며 신경전을 벌였다. 주인들이 달래며 충돌은 없었지만 놀이터에선 종종 강아지 간 갈등이 발생했다. 대형견 존에서 작은 솜털 뭉치 같은 소형견 한 마리가 돌아다니기도 했다. 현장을 관리하는 A씨는 “견주가 대형견과 소형견을 함께 데려와서 어쩔 수 없이 함께 입장시켰다”며 “지금까지 큰 사고는 없었지만 개들끼리 작게 물고 할퀴는 건 일상처럼 벌어진다. 큰 사고가 벌어지면 견주들이 해결하는 게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월드컵공원반려견놀이터에 붙은 안내문. 놀이터에서 벌어지는 사고는 견주들의 책임이라고 명시돼 있다. 이곳에서 일하는 A씨는 "충돌이 발생해도 견주들이 알아서 해결해야 한다. 시가 개입하는 일은 없다"고 설명했다. 신혜연 기자 반려견을 기르는 가구가 증가하면서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반려견 놀이터도 함께 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시내에서 운영 중인 공공 반려견 놀이터는 모두 16곳이다. 4곳은 서울시 직영으로, 12곳은 각 자치구에서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월드컵공원 반려견 놀이터 일평균 이용자는 273명, 보라매공원 반려견 놀이터 일평균 이용자는 371명에 달했다. 이용자가 늘면서 시설과 이용방법 관련 민원도 발생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반려견 놀이터와 관련 민원 10건이 접수됐다. 반려견 놀이터가 있는 구의 홈페이지에도 반려견 놀이터의 청결 상태나 관리 소홀을 지적하는 글이 여러 차례 올라왔다. 이용자들은 매너가 없는 반려견주에게 경고를 해달라고 요청 “가동률을 낮추거나 일이 적었던 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