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전산 시스템이 엉터리인데 어떻

페이지 정보

본문

“전산 시스템이 엉터리인데 어떻게 국민들이 선거 결과를 신뢰할 수 있겠습니까?” 비상계엄 선포 9일 뒤인 지난해 12월 12일. 윤석열 전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내고 이렇게 주장했다. 국가정보원 점검으로 선거관리위원회 서버의 보안이 부실하다는 점이 드러났다고 지적하며 선관위가 제대로 개선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비상계엄으로 군을 동원해 확인하려 했다는 주장이었다.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도 탄핵심판 변론에서 “중국이 하이브리드전을 전개할 수 있다”며 거듭 선관위 해킹 가능성을 주장했다.하지만 선관위에서 일부 보안 문제가 확인됐다고 해서 선거 결과를 뒤바꾸는 ‘부정선거’를 저지를 수 있는 건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국은 전자 투표를 도입하지 않은 만큼 유권자들이 실물 투표용지에 기표해 투표하고 개표 요원들이 수검표도 진행하고 있다. 또 정당 추천 참관인이 그 결과를 점검하고 있으며 각 후보에게 실시간으로 개표 정보가 전달된다. 설령 해커가 선관위 내부 직원들과 협력해 선관위 서버를 뚫고 해킹해 투표 결과 등을 조작한다 하더라도, 실물 투표지와 대조하는 과정에서 확인될 수밖에 없는 만큼 서버 해킹을 통해 선거 결과를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선관위 서버 뚫렸다” 주장은 사실 아냐선관위 서버를 해킹해 선거 결과를 조작했다는 부정선거 음모론자들의 주장은 2023년 10월 국정원과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선관위 보안 점검 결과 발표 이후로 불이 붙었다. 국정원은 가상 해커 역할을 한 직원이 인터넷을 통해 선관위 내부망과 선거망까지 침투할 수 있었다고 했다. 선관위가 ‘망분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선관위 직원들이 일반 업무를 위해 사용하는 내부망과 선거 관리에 사용되는 선거망이 겹치는 접점으로 해커가 들어갈 수 있었다는 것.이 점검 결과는 유튜브 채널을 중심으로 “선관위 서버가 국정원에 뚫렸다”는 주장에서부터 “선관위 서버가 북한과 중국 해커에게 뚫렸다”는 음모론으로 확대 재생산됐다. 윤 전 대통령 탄핵 심판 과정에선 선관위 수원 선거연수원에서 체포된 중국인 90명이 주일미군 기지로 압송돼 부정선거 관여를 자백했다는 허위 정보가 유포되기도 했다.하지만 “선관위"경단녀의 잠재력은 대단해요. 그걸 이끌어내는 게 조직의 역할입니다." 이재은(46) 서초여성일자리주식회사(이하 서여주) 대표가 지난 5년간 깨달은 가치다. 서여주는 경단녀의 고용 안정을 위해 설립한 기관이다. 이곳을 거쳐간 경단녀들은 대부분 경력단절 이전의 역량을 회복했다. 경단녀가 위축되지 않고 적응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배려하는 시스템을 갖춘 덕분이다. 5년 임기를 마무리하는 이 대표를 통해 서여주가 일궈온 성과를 짚어봤다. 이재은 서여주 대표는 경단녀들에겐 뛰어난 인재로 거듭날 잠재력이 있다고 강조했다.[사진|천막사진관] 이재은 서초여성일자리주식회사(이하 서여주) 초대 대표. 여성지 기자, 교육공학 박사, 겸임교수, 커리어 교육업체 창업자 등 화려한 커리어를 갖고 있는 그 역시 '경력단절'이란 벽 앞에선 좌절했다. 재취업의 문이 바늘구멍만큼 좁은 것도 문제였지만, 경력단절 이전의 능력을 회복하는 건 또다른 난제였다.사회도, 조직도, 다시 돌아온 그에게 시간과 여유를 충분히 주지 않았다. 2021년 이 대표가 서여주의 초대 CEO에 도전했던 이유다. 그후 5년, 그는 어떤 답을 찾아냈을까.[※참고: 서여주는 경단녀의 고용 안정을 위해 설립한 기관이다.]# 경력단절 vs 경력유보 서여주 대표를 맡은 후 가장 많이 달라진 건 무엇인가요? "경단녀를 바라보는 생각이 좀 더 단단해졌어요."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시겠어요? "경단녀의 잠재력은 어찌 보면 대단해요. 지금까지 저평가돼 왔을 뿐이죠. 조직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경단녀가 '뛰어난 인력'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걸 새삼 확인했어요." 경단녀를 채용하는 조직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거군요. "맞아요. 이는 경단녀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과 맞닿아 있어요." 새로운 시각이 뭔가요?"경단녀의 경력은 '단절된' 것이 아니라 '유보된' 것이란 시각이죠. 가령, 육아에 전념한 기간이 5년이라면, 그 5년은 단절이 아니라 '유보의 기간'이란 얘기입니다."경력단절과 경력유보. 조금은 구분하기 힘든 용어다. 쉽게 풀어보자. 경력단절은 '일의 끊김'에 초점을